푸드 마일리지는 높은 게 좋을까? 낮은 게 좋을까? |
일반적으로 비행기 마일리지라던가 마트에서 물건 구입이 누적되었을 때 주는 마일리지는 높으면 높을수록 좋은 것인데
푸드 마일리지는???
정답을 알려면 푸드 마일리지가 무엇인지 부터 알아야하겠다.
푸드 마일리지(foodmileage)는 1994년 영국의 환경운동가 팀 랭(Tim Lang)이 창안한 것으로
특정 중량의 먹을거리가 생산지에서 소비지까지 이동하게 되는 거리를 계산한 것이다.
쉽게 말해
푸드 마일리지는 음식이 우리 입에 들어오기 까지 이동한 총 거리를 말한다.
이 푸드 마일리지는 t.km 라는 단위를 사용하고 있다.
푸드 마일리지 (t.km) = 식품 수송량(ton) * 식품 수송거리(km)
이 푸드 마일리지 수식을 본다면
식재료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이동한 거리가 길수록 푸드 마일리지는 커지는 것이다.
수입 농산물과 같이 푸드 마일리지가 긴 식품은 장거리를 이동하면서 복잡한 유통 경로를 거치기 때문에
불필요한 유통 비용이 드는 것은 물론, 식품 안전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먼거리에서 장기간 신선하게 소비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방부제, 색료 등 인공 첨가물들이 사용되어 우리의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무엇보다도 심각한 문제는 유통 과정에서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게 되어 지구온난화를 비롯해 많은 기후변화를 촉진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결론적으로 푸드 마일리지는 일반 마일리지의 개념과는 반대로, 적을수록 좋은 것이다.
실제로 우리가 자주 접하는 먹거리들의 푸드 마일리지를 볼까?
<키위류>
뉴질랜드산 골드키위 |
제주산 참다래 |
거리 10007km |
거리 481km |
푸드 마일리지 20.14 t.km |
푸드 마일리지 0.96 t.km |
온실가스 배출량 774g |
온실가스 배출량 47g |
<감귤류>
필리핀산 자몽 |
제주산 한라봉 |
거리 13.89km |
거리 482km |
푸드 마일리지 69.46 t.km |
푸드 마일리지 2.41 t.km |
온실가스 배출량 2657g |
온실가스 배출량 120g |
우리가 즐겨 먹는 뉴질랜드산 골드키위와 제주산 참다래를 비교해 보면,
푸드 마일리지는 20.14 t.km와 0.96 t.km로 엄청난 차이를 보이고 있고 온실가스 배출량 역시 774g 과 47g으로 1
6배 이상 뉴질랜드산 골드키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감귤류인 필리핀산 자몽과 제주산 한라봉 역시 큰 차이를 보인다.
<각종 수입과일들>
우리나라 푸드 마일리지 현황 |
최근에 국내에서도 웰빙 바람이 불어 푸드 마일리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푸드 마일리지를 줄이자는 공공 캠페인이 시도되고 있지만 여전히 선진국에 비해 국민 1인당 푸드 마일리지는 높은 편이다.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2007년 기준 한국의 1인당 푸드 마일리지는 프랑스(869t·km)의 5.9배 수준인 5121(t·km).
그만큼 한국인이 해외에서 들어온 식품을 많이 먹는다는 뜻이다.
실제 한국이 수입한 식품 양은 국민 1인당 456kg. 프랑스(386kg)나 일본(387kg), 영국(434kg)보다 많았다. 자연히 수송 과정에서 발생한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114kgCO₂로 프랑스(91kgCO₂)와 영국(108kgCO₂)보다 높았다.
푸드 마일리지가 적은 식품의 장점 |
푸드 마일리지가 적은 식품은 직접적으로 우리에게 어떤 점이 좋을까?
푸드 마일리지가 적은 식품의 장점을 본다면,
1. 안전하고 건강한 식품을 먹게 된다.
2. 수송연료를 아끼게 되어, 지구환경을 지킬 수 있다.
가까운 지역에서 생산된 식품을 먹는 것이 에너지도 절약하고 건강도 지키는 일이 되는 것이다.
실제 100만명의 사람들이 1년 동안 자기가 사는 지역에서 나는 음식을 먹는다면
약 62만 5천 t의 이산화탄소를 줄일 수 있다고 한다.
푸드 마일리지에 대해 공부하다가 다음의 표를 찾았다.
표 내용을 보면 한눈에 푸드 마일리지가 적은, 즉 가까운 지역의 먹거리를 이용하는게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가 있다.
<내가 먹는 식품, 얼마나 믿을만한가?>
먹을거리 구입 방법 |
물리적/사회적 거리 |
신뢰도 |
직접 텃밭에서 길러 먹는다. |
0 |
100% |
동네 사람이 기른 것을 사 먹거나 얻어 먹는다. |
매우 가깝다. |
매우 높다. |
지역의 한 농가와 계약해서 갖다 먹는다. |
조금 가깝다. |
매우 높다. |
농민장터에서 로컬푸드를 사 먹는다. |
중간 |
높다. |
대형마트에서 로컬푸드를 사 먹는다. |
중간 |
중간 |
대형마트에서 수입 먹거리를 사 먹는다. |
매우 멀다. |
0% |
표를 통해 보면, 직접 텃밭에서 길러 먹는 것이 푸드 마일리지가 가장 적고, 내가 직접 기르기 때문에 신뢰도 100%이다.
직접 기르기 힘들다면 지역 농가와 계약을 통해 공급 받는다던가 농민장터 등을 통해 먹거리를 사먹는 방법도 매우 좋은 방법으로 보여진다.
푸드 마일리지를 줄이려면?? |
푸드 마일리지는 소비자의 작은 선택에서 부터 충분히 줄일 수 있다.
우리는 우리의 안전한 먹거리와 지구 건강을 위해서 먹거리 선택에 있어서 지켜야할 것들이 있다.
1. 지역에서 생산되어 생산자의 사진이 보이는 먹을거리 고르기
2. 유기농이라도 포장지 뒷면에서 '재배된 나라'와 '만들어진 재료'를 꼼꼼히 확인하기
3. 예쁘게 그리고 편리를 위해 씻어 포장된 가공식품보다
신선하게 숨쉬고 흙이 뭍어 있는 자연 상태에 가까운 식재료 찾기
4. 제철에 나는 먹을거리 사용하기
5. 우리 땅에서 나는 먹거리와 친해지려 노력하기
6. 가능하다면 내 텃밭에서 직접 길러 먹기
<우리집 옆집 옥상 위에 있는 텃밭>
<주말농장>
내가 직접 내 텃밭에서 길러 먹으면 깨끗하고 안전한 먹거리를 먹을 수 있고, 내가 땀 흘려 자연에서 키워 땅이 주는 결과물에 감사하는 마음까지도 가질 수 있다.
요즘에는 주말농장 등 땅을 일정 기간 빌려서 원하는 작물을 심고 키워 수확해서 직접 가정에서 먹을 수도 있다.
직접 길러 먹는게 어렵다면 가까운 먹을거리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더 좋은 맛과 질로 우리 밥상 건강을 지킬 수 있고, 우리 땅에서 나는 먹거리로 우리 식문화도 살릴 수 있다.
또 지역 경제도 활성화 시킬 수 있고, 식량 자급률을 높여 우리의 식량 주권도 회복할 수 있다고 한다.
전지구적으로는 에너지를 절약하고 온실가스를 줄여 환경을 지킬 수 있다.
이렇게 부드러운 것에, 가공된 것에 길들여진 나와 내 가족의 입맛을 바꾸고
조금의 불편만 감수한다면
건강도 지키고 경제도 살리고 애국도 하고 환경도 지키는
일석사조의 좋은 일들을 할 수 있을 것 같다.
<자료 출처>
http://solbaram_6.blog.me/20134166080
http://blog.daum.net/mepr_greenwing/7633151
http://news.donga.com/3//20090928/8814698/1
http://blog.naver.com/doyobook/20131072266
http://100.naver.com/100.nhn?type=image&media_id=1548534&docid=805988
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946807
'시사이슈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사의 도전 -사토 마나부 (0) | 2013.06.09 |
---|---|
KBS2 <인간의 조건>… 맛집 프로그램들이 말하지 않은 ‘음식의 조건’ (0) | 2013.05.05 |
푸드 마일리지 (0) | 2013.05.05 |
서울시의 마을 만들기 222억원은 어떻게 사용될까? (0) | 2013.05.05 |
로컬푸드 핵심은 ‘소농 육성과 도농 순환경제 활력’ (0) | 2013.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