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원현장

풍무동 도축장 이전 물꼬 틀까 -김포신문

김포대두 정왕룡 2016. 3. 12. 22:50
풍무동 도축장 이전 물꼬 틀까
2016년 03월 09일 (수) 13:23:17김동규 기자  kdk885@naver.com

풍무동 도축장 이전 물꼬 틀까

사업자 “행정지원 필요 300억 이상 소요”
주민들 “피해방지 약속 하면 대화 용의”
유시장 “사업자 의지 확인 땐 적극 협력”

  
▲ 악취로 주변 주민들의 민원 대상이 되고있는 우석식품 도축장이 이전 논의가 시작됐으나 결과는 미지수다. 사진은 풍무동 장릉묘원 옆에 위치한 도축장 입구.


풍무동 장릉공단에 위치한 도축장(우 석식품) 이전 논의가 시작된 가운데 그 결과가 주목되고 있다. 지난 1984년에 설립된 이곳 우석식품은 그동안 주변에 주거시설 등이 들어서면서 주민들에게 수십 년 동안 악취민원의 대상이 돼 왔 다. 이같은 민원이 계속되자 도축장과 주변에 위치한 장릉묘원은 이전 대상으 로 기정사실화 돼 왔고, 지난 2014년 지 자체 선거에서 유영록 현 시장을 비롯 해 조승현 도의원, 정왕룡 시의원 등 당 선된 유력 후보들이 이곳 도축장 이전을 공약으로 내걸고 당선됐다. 

도축장 이전을 공약으로 내걸고 당선 된 선출직들에 의해 김포시에 도축장 이 전 계획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반복되는 과정에서 우석식품이 양촌읍 누산리 배 수펌프장 일원에 도축장 부지를 마련하 고 2020년까지 이전하겠다며 도에 제출 한 이전계획서가 정왕룡 시의원에 의해 의회에서 공개되면서 이 문제가 수면위 로 부상했다. 

김포시 관계자는 이에 대해 "고질적인 민원이 계속되고 있고 누산리 주민들의 반대와 민원이 다시 제기되고 있는 상 황에서 사업자 측과 관련 부서 관계자 가 참석한 가운데 대화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는 시 해당부서 담당 과 도 관계자, 사업자 측 대표가 함께 참 석했고, 주민측은 불참한 것으로 확인됐다.

우석식품 관계자는 본지와 통화에서 " 이곳 도축장은 주변에 주거시설이 전혀 없는 1984년도에 세워진 회사다. 지금 와서 우리 회사를 민원발생의 주범인양 취급하는 것은 억울하다. 도축장 시설의 특성상 부분적으로 시설을 보완할 수 없 다"며 "새 시설은 냄새가 발생하지 않는 밀폐형으로 설계하고 자동화 시설을 제 대로 갖추려면 최소 300억원에서 천억 대가 소요돼 감당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또 "김포시의 재정적인 어려움을 감안 할 때 경제적 지원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 아니냐. 현 부지와 이전할 부지에 대한 행정적인 지원이 우선 필요하고 경 제적인 지원은 이후 문제다"고 밝혔다. 행정적인 지원은 약 7천여평에 달하는 현 부지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 는 도시계획 변경과 이전할 농지에 대한 도시계획변경을 의미한 것으로 해석된다. 

누산리에 도축장 부지를 매입하고 이 전계획서를 경기도에 제출한 사실이 시 의회에서 확인되자 누산리 5리 이영길 이장은 "풍무동 주민들의 입장은 반영 하고 이곳 주민들은 피해를 입어도 된 다는 식은 안 된다. 내부 회의에서도 주 민들이 입장을 반영하기로 한 것으로 안 다. 김포시와 사업자측이 피해방지를 위 한 약속 전제하에 주민들의 뜻을 모아 대화 할 용의는 있다"고 여지를 남겼다. 

(주)우석식품은 지난 2008년 6월 양촌 읍 누산리 1047번지 일원에 31,000㎡ 의 도축장 이전을 위한 부지를 매입하고 2021년까지 이전하겠다는 계획서를 경 기도에 제출한 바 있다. 지난 제161회 정 례회 2차 본회의 시정 질문에서 정왕룡 의원이 이 문제를 제기하자 유영록 시장 은 답변에서 "우석식품 측이 이전하겠다 는 의지가 확실하다면 재정적 지원 외에 모든 것을 적극 협력하겠다"며 "내년 중 으로 이전 매입 부지에 대한 타당성 용역 을 발주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시 도시계획 담당은 "이전할 부지에 대 해 사업자가 도축장 시설결정을 위한 서 류를 접수하면 검토할 수밖에 없다. 다 만, 기존 부지에 대한 단독 용도변경 등 은 어려움이 많다. 주변의 개발사업으로 제안이 될 경우에는 긍정적으로 검토할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협의체를 구성해 논의가 시작됐으나, 용역 발주 및 결과보고, 도시계획변경 등을 감안하면 향후 2년여 이상이 소요 될 것으로 전망된다.


김동규 기자